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55)
당신의 삶에 명상이 필요할 때[앤디 퍼디컴] 1 마음공부란 무엇인가에서 출발해서 명상에 대해 알아봐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명상에 관한 책을  찾아 보는 중 앰마왓슨, 스티브 잡스, 빌게이츠가 극찬한 책이란 문구를 보고 이 책을 선택해서 읽게 되었다. 잘한 선택이었다. 명상에 대한 길잡이로서 최고의 책이 아닐 수 없다. 10분 명상을 일상적으로 '조금씩 자주' 하면 보면 나의 삶이 나의 마음의 평온이 점진적으로 일어나고 내 삶을 변화 시킬 수 있을 거 같다. 마음챙김이란 현재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일에 정신이 팔리거나 생각에 사로잡히지 않고 '그 순간에' 존재하는 것, 지금 펼쳐지고 있는 삶을 직접 경험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당신이 어떻게든 창출하거나 유지해야 하는 부자연스럽거나 일적인 상태의 마음이 아니다. 그 반대로 마음챙김은 한 ..
내가 원하는 믿음과 삶을 만들자 믿음은 내가 자주하는 생각일 뿐이다. 그러므로 믿음은 내가 바꿀 수 있다.삶은 내가 믿는 대로 이루어 진다. 내가 믿는 것들이 모두 사실이 아님을 알아 차리자나에게 스스로 채워준 한계를 흘려 보내자나는 한계가 없다. 나의 능력에는 한계가 없다.나는 무엇이든지 할 수 있고 무엇이든지 될 수 있다 나를 한정했던 부정적인 생각들나에 대한 불신, 조급한, 이루지 못할 것 같은 불안감, 소외감 등을 내 몸에서 씻겨 보내자 그리고 용기, 사랑, 존중, 자비, 풍요로 그 에너지로 가득 채우자나는 이 모든 긍정적 생각과 에너지로 가득 찬 나를 느껴 본다. 나는 기적이고, 사랑이고, 용기고 풍요 자체이다.나는 내가 유일하게 믿는 신이다. 나를 두려움과 불안에 떠는 어린아이로 한정짓지 말고완전한 신의 모습으로 돌아 가자.
분노를 다스리는 법 분노를 느끼게 되면 나는 침묵외 외면을 선택했다. 분노를 주었던 상태와 마주치지 않으려고 했고 말하지 않으려했다. 그러나 내 안의 분노는 사라지지 않았고, 상상속에서 그 사람에게 화를 내고 그 분노는 마음속에서 점점 커졌다. 나는 분노에 물과 먹이를 주었다. 분노를 다스리기 위해서는 용기가 필요하다.  첫째 분노를 마주보는 용기, 그 분노의 실채가 무엇인지. 상대의 말고 행동 중에 어떤 부분이 나를 분노하게 했는지 명확하게 바라보자 둘째, 화를 가리앉치고 용기를 내어 내가 느낀 것을 상태에게 말하자말하지 않으면 그 분노는 점점 커져 나를 잠식하게 될 것이므로 어차피 분노를 느끼게 되는 상태를 외면하고 다시 보지 않게 될 것이므로 무서워 하지 말자. 다만 차분하게 상대의 말고 행동 중에 어떤 부분이 내게 ..
총애와 수모 인간의 삶은 아니라고 해도 총애받고 싶고, 수모를 피하고 싶은 마음, 그러기 위한 행위로 점철된다.총애까지는 아니더라도 수모는 피하고 싶은 마음이 크다.  총애를 받고자 하면 총애를 받지 못하면 어쩌나 싶은 마음에 항상 쫓기고 무리하게 된다.수모를 피하고 싶은 마음은 수모를 당하면 어쩌나 싶은 마음에 항상 쫓기고 여유가 없다. 총애를 받든 수모를 받는 다 한순간의 일이다. 총애를 받다가도 어는 순간 수모를 받는 순간이 누구에게나 온다. 항상 꽃밭만 갈는 사람은 없다. 모든 순간을 놀라지 않고 두려워 않고 담담히 받아 들이면 된다.한순간임은 영원하지 않음을 인정하고 허용하면된다.  죽음을 앞두고 내 인생을 통틀어 생각해 보면 다른 사람으로 부터 받는 한순간의 총애가 얼마나 대단한 일이고다른 사람으로 부터 ..
태연과 교만사이 태연한 사람은 자신이 괜찮은 사람이라는 믿음이 있기에 강자 앞에서 주눅 들지 않고 약자 앞에서 거들먹거리지 않는다.교만한 사람은 스스로의 괜찮음을 외부에서 찾으려 하기 때문에 강자 앞에서 비굴하고 약자 앞에서 거들먹거리고 항상 초조하고 불안하다. 스스로를 믿고 내게 주어진 일에 또 내가 하고 싶은 일에 최선을 다하는 사람. 내가 할 수 있는 일과 내가 관연할 수 없는 일을 구분하여 내가 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하는 사람은 태연하다. 일희일비하지 않고 마음의 평온을 얻고 삶의 기쁨을 얻을 수 있다.
믿음에 관하여 공자에 따르면 지혜로운 사람은 스스로에 대한 믿음이 있기에 혹하지 않고, 인한 사람은 남들에 대한 믿음이 있기 때문에 근심하지 않고, 용감한 사람은 세상에 대한 믿음이 있기에 두려워하지 않는다고 했다. 믿음은 세상을 정의롭고, 살만한 곳으로 만든다. 그런 믿음의 출발은 스스로에 대한 믿음이다. 스스로에 대한 민음은 스스로에 대한 사랑으로 부터 출발할 것이다. 스스로 괜찮은 사람이고 사랑받을 만한 사람이며 풍요로운 사람, 지혜와 인과 용기가 있는 사람이라고 믿으면 남도 나에 비추어서 믿게 되고 나와 남이 서로 조화롭게 살아가는 세상에 대한 믿음이 생기게 된다. 믿는다고 모든 사람이 모두 올바르게 정의롭게 인을 실천하면 살지는 않는다. 그러면 그럴 수 있다 여기면 될 것이다.모두 다른다. 다른 배경과 성품과..
극복하는 것과 즐기는 것의 차이 자신의 처지를 극복하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극복할 수 있다면 정말 대단한 일이다. 극복의 대상이 된다는 거은 지금의 자신의 처지를 부정하는 것 일 수 있다. 지금의 처지가 좋지 않기 때문에 극복하고 싶은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신의 처지를 즐기는 것은 자신의 처지를 편안하게 여긴다는 것이다. 그 의미는 자신의 처지를 긍정하고 감사한다는 것이다.  내 처지를 편안히 즐길 수 있다면 내 마음에 감사와 풍요가 가득하고 매 순간 여유로울 수 있다. 세상이 나의 편이 될 수 있다.
조화와 변화 세상과 조화롭게 사는 것은 인仁이라고 한다. 나 혼자 살 수 없는 세상이니 세상과 조화롭게 살아야 사는 것이 즐겁고 기쁘다.  세상에 변하지 않는 진리가 있다면 그것은 '모든 것은 변한다'이다. 변화를 수용하고 그 흐름을 잘 탈 수 있으면 세상에 거르르지 않는다. 세상과 조화롭게 살며 변화하는 사람은 주변에 사람이 많고 여유롭게 풍요롭게 삶을 살 수 있다.따로 친해지려 노력하지 않아도 주변에 사람이 모이고, 능력을 뽑내지 않아도 그 능력이 빛이 날 것이다.

반응형